2013-1 졸업작품 유도전동기 고장진단 임베디드시스템 | |||||
작성자 | 관** | 작성일 | 2014-05-19 | 조회수 | 1930 |
---|---|---|---|---|---|
1. 작품명 국문 : 유도전동기 고장진단 임베디드시스템 영문 : Motor Fault Detection Embedded System
2. 작품개요 본 작품은 유도전동기로부터 취득한 음향 및 진동 신호를 이용하여 결함 분류를 위한 특징을 추출하고 , 이를 서포트 벡터 머신 (Support Vector Machine, SVM) 을 이용하여 그 결함 유형을 분류하는 시스템이다 .
3. 개발 배경 및 목적 3-1. 개발 목적 3-2. 중요성과 필요성 - 국가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자동화 설비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지능화되면서 장비운전의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가 대단히 중요함 - 최신의 발전설비들은 대형화 , 첨단화 및 고속운전 등으로 인하여 한 번의 고장으로 야기되는 제품의 손상과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기 때문에 발전 설비의 정지 없이 운전 중에 기기들의 운전 상태를 감시하고 고장을 진단하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필수적으로 요청됨 - 더불어 발전 설비의 운전과 유지관리 측면에서 작업환경과 근무형태 ( 야간 , 휴일근무 ) 에 따라 기술자의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, 고도의 기술력을 갖춘 기술자의 고령화로 인한 전문 인력의 감소가 현실적으로 문제시됨 - 따라서 발전 설비의 유지 , 관리측면에서 예지보전기술의 발전이 더욱 필요한 시기임
3-3. 기존 국내외 연구 내용 SVM 은 첫째 , 명료한 이론적 근거에 기반하고 있다 . 이는 입력으로부터 어떠한 학습 방법을 이용하는가에 대한 직관적인 해석을 제공해 준다 . 즉 , 간단하고 명료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, 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규명할 수 있다 . 둘째 , 실제 응용 문제에서 높은 인식 성능을 나타낸다 . 그러나 실제 응용에서는 신경망과 같이 보다 복잡한 구조의 패턴 Classifier 를 요구한다 . SVM 기법은 이런 Classifier 를 이용하여 입력 공간의 비선형적인 높은 차수를 Feature Space 에서 선형적으로 투영하여 해석할 수 있도록 하며 , 각 Feature 사이의 최적의 경계 ( 최적분리면 ) 를 제시한다 .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SVM 은 비선형 패턴 인식 문제 , 함수 회귀문제 , Human-Computer Interaction(HCI), 데이터마이닝 , Web Mining, 컴퓨터 비전 , 인공지능 , 예측 , 의학진단 등의 분야에서 크게 활용될 것으로 보여 , 최근 매우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.
6. 향후 연구와 기대효과 ▶ 중소기업에 대한 이미지 제고효과 - USN 기반 발전설비 고장예측 시스템 개발을 통해 참여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 . - USN 기반 실시간 고장예측 시스템은 참여기업에 기술이전을 통하여 상품화 될 수 있으며 , 관련 산업기술발전에 기여 . - 시제품을 제작하여 국내의 마케팅을 활성화함으로써 참여기업에 대한 이미지 제고
▶ 기술적 측면 - 본 프로젝트는 임베디드 하드웨어 / 소프트웨어 , USN, 디지털 신호처리 등의 여러 학문 분야의 기술 결합으로 융합 기술분야 발전에 기여도가 높음 . - 고신뢰성 고장예측기법의 개발로 인한 파급효과는 발전 설비 뿐만 아니라 다른 설비에 대한 고장예측기법을 개발하는 기반이 됨 . -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기법이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등은 현장의 감시 및 고장예측을 위한 하드웨어 구축에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음 . - IT 기술을 접목한 실시간 예지보전 시스템 개발로 발전설비정비의 최적화 방안 도출에 기여 . - 발전설비의 운전 상태에서 정상 / 비정상을 판별함으로서 예지보전이 가능하여 발전 설비의 수명이 연장되고 운용 효율이 증대 .
▶ 경제 ? 산업적 측면 - 고장예측에 관한 기술개발을 통해 관련 산업분야의 수입대체 효과가 증대 . - 발전설비 , 건설장비 등에 실시간 고장예측 시스템을 패키지화하여 상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다른 제품과의 차별화를 이룰 수 있음 . - USN 기반의 실시간 고장예측 시스템은 산업체 기술 이전을 통하여 상품화될 수 있으며 , 산업체에 기술이전 되면 관련 산업의 기술 발전이 크게 향상할 것 . - 임베디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하여 국내에서 절대적으로 부족한 임베디드 시스템분야의 하드웨어 / 소프트웨어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해당 산업분야에 큰 기여가 기대 .
|
-
이전글
- 2013-1 졸업작품 울쑥이
-
다음글
- 2013-1 졸업작품 쿠다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