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3-1 졸업작품 플랜트 메이커 | |||||
작성자 | 관** | 작성일 | 2014-05-19 | 조회수 | 1081 |
---|---|---|---|---|---|
1. 작품명 : PLANT MAKER
2. 제작자 : 김광배 (20062369)
3. 작품개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식물 키우기 어플리케이션이란 개발 SQLite 를 사용하여 식물의 변화 값을 쿼리문을 사용하여 적용시키며 실시간의 값을 자바 내 DB 에 구축한다 .
4. 개발 배경 및 목적 식물이 인간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. 식물 기르기가 필요한 사람이나 식물을 기르기에 환경적으로 불가능한 사람 ,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을 위해 식물을 가상의 화분이 구현되는 것을 개발하고자 한다 . 이를 위해 언제나 휴대하고 다니며 관심을 갖고 쉽게 접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모바일에 식물재배 어플리케이션을 구현을 하고자 한다 . 안드로이드는 기존 모바일 플랫폼과 달리 수많은 설계자들이 개발하여 완전하고 오픈소스로 구성되어 개방적이다 . 개발도구 및 배포가 무료라 보다 쉽게 사용화 할 수 있어 누구나 손쉽게 접근 할 수 있을 것이다 . 5. 작품 내용 식물의 성장은 식물의 상태와 시간에 맞춰 식물이 자라나게 된다 . 이는 초기 식물 선택하여 식물이 생성된 후 쓰레드를 활용하여 식물의 초기 생성 시간과 현재시간을 계산하여 1 초 주기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뒤 화면에 나타난다 . 식물을 선택된 모든 식물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수분량 , 일조량 양분량의 최대값은 100 이며 기본값은 60 으로 설정하였다 . 이 수치는 쓰레드를 통해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떨어지며 이 수치가 3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식물이 시들게 된다 . 상태 수치가 각각 5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식물은 죽는다 . 이를 위해 물주기 , 햇빛 , 영양분 버튼을 선택하여 설정된 수치를 올려준다 . 하지만 식물이 죽게 되면 상태조절 버튼을 눌러도 반응이 없고 살아나지 않는다 . 5-1. 시스템 구성 1). XML 구성 XML 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의 화면을 모두 디자인 할 것이다 . FrameLayout 을 활용하여 여러 장에서 구현될 것을 한 화면으로 구성해본다 .
2).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식물에 대한 데이터는 각 버튼을 누를 때 마다 저장되는 식으로 구성한다 . 5-2. 개발환경 1) JAVA ECLIPSE 2) ANDROID SDK 3) SQLITE |
- 첨부파일
- plant.jpg
- 요약서.hwp
- 플랜트메이커.pptx
-
이전글
- 2013-1 졸업작품 쿠다분석
-
다음글
- 2013-1 졸업작품 헤드헌터